평택시 그외
안민욱
- 이름
- 안민욱
- 장르
- 시각예술 (회화/설치미술)
- 데뷔년도
- 이메일
- 연락처
- SNS/홈페이지
- http://www.ars2008.com
본문
<예술인 소개>
안민욱은 예술과 삶이 본래부터 분리된 것이 아니라,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는 관점에서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르스(ars)라는 이름의 가상 회사를 통해 기존의 예술적 경계를 허물고 예술이 일상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미술관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감정과 서사를 녹여내며 사람들이 예술을 어디에서든, 이미 존재하는 어떤 것으로 만날 수 있도록 작업을 구성해 왔습니다.
그의 예술은 소유의 대상이 아니라, 경험이자 관계로서 열려 있으며, 관객과 함께 만들어지는 참여의 과정을 중시합니다.
현재는 오산에서 아르스페이스(arsPace)라는 카페를 운영하며, 이 공간을 단순한 휴식처가 아닌 예술적 실험과 교류의 장으로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과 방문객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예술을 살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만나고, 함께 만들어가는 전시와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이 삶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
개인전
2024 《이름 없는 성》, 교차공간818 / 공간삼리, 평택
2022 《당신에게 드립》, 응접실, 인천
2020 《아르스도》,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5 《오산연고작가 발굴전》, 문화공장 오산, 오산
2014 《플랜 비 스테이지》, 스페이스 까마귀, 오산
2014 《아르스-쓸모없는 예술 사무소》, 쿤스트독 프로젝트 스페이스 난지, 서울
이인전
2020 《사이 좋은 사이》, 금나래아트홀갤러리, 서울
기획전
2024 여수국제미술제《소울푸드 엔 블랙칵테일》, 여수엑스포 D전시홀, 여수
2023 《그린라이트》, 교차공간818 (공간삼리), 평택
2023 《개업의 조건: 공간, 장소, 관계》, 교차공간818, 평택
2023 《와일드 와일드 웨스트》, 엠엠아트센터, 평택
2023 《덩어리》, 공간오십오, 대전
2022 《Portal》, 에스타시온 테레나, 보고타
2022 《Ten Years, Still Practising...》, 캠버웰스페이스, 런던 + 아르스페이스, 오산
2022 울산현대미술제《시작부터 지금》, 중구문화의거리, 울산
2021 《질문원정대 생각의 꽃을 보다》, 오픈스쿨, 안양
2021 울산현대미술제《00MHz: 진동하는 경계들》, 중구문화의거리, 울산
2021 코로나19 서울공공미술 '100개의 아이디어', 서울은미술관, 온라인
2020 《기획전》, 문화비축기지 T5 이야기관, 서울
2019 《쿠니무라 준의 미끼》, 금천예술공장, 서울
2019 《끈질기게, 끈질긴》, d/p, 서울
2018 난지아트쇼 VI《크립토스》, 난지전시실, 서울
2018 난지아트쇼 IV《뻐꾸기알》, 난지전시실, 서울
2018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시는 거죠?》, 아트스페이스 원, 서울
2018 난지 아트쇼 III《난지넌지, 난해한지도》, 난지전시실, 서울
2018 《1인실의 세계》, 갤러리175, 서울
2018 난지 아트쇼 I《쇼!룸!》,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18 《우연한 세계》,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2018 《신소장품전》, 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17 《이동하는 그림자》, 홍천미술관, 홍천
2017 《유니온 아트페어 II》, 인사1길, 서울
2017 《홈리스의 도시》,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김해
2017 《참여적 전회》,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
2016 미디어시티서울《네르르 키르르 하라라》,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6 《유니온 아트페어》, 블루스퀘어네모, 서울
2016 《아시아 쿨라 쿨라링》,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6 《안민욱의 실험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안산
2016 《홈리스의 도시》,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5 노마딕 경기아트페스타《실신프로젝트 남양광하》, 경기아트플랫폼, 수원
2015 별별예술프로젝트《자연사용설명서》, 성남시민텃밭, 성남
2015 《테미 지역리서치 프로젝트》, 구 충남도지사 공관, 대전
2015 《쓸모없지만 쓸모있는》, 문화공장 오산, 오산
2014 《예술을 믿습니까?》, 매향동 24-3, 수원
2014 《매뉴얼_파츠 앤 레이버》, 문화공장 오산, 오산
2009 공공미술프로젝트《골목에서 주름잡기》, 추계예술대학교 / 북아현동, 서울
2008 서울도시갤러리 프로젝트 《북아현동에서 잃어버린 마르티스 여아를 찾습니다》 , 추계예술대학교, 서울
2008 《성인식장》, 관훈갤러리, 서울
학력 및 레지던시
2018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12기),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7 분홍공장(3기), 강원문화재단, 홍천
2013 런던예술대학교 (윔블던칼리지오브아츠), 공연의 시각언어 석사 졸업
2012 런던예술대학교 (첼시칼리지오브아츠), 순수미술 석사 졸업
2009 추계예술대학교, 판화 학사 졸업
출강
2019 대학로 꿈잼학교,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9 공간과 프로세스, 추계예술대학교, 서울
2018 공간과 프로세스, 추계예술대학교, 서울
2015 특강, 수리고등학교, 군포
2015 특강, 추계예술대학, 서울
2015 꿈다락토요문화학교, 문화공장오산, 오산
2014 앱동영상교육, 신창시장, 서울
2014 산으로 간 배, 추계예술대학교, 서울
참여 프로젝트 및 워크숍
2022- 카페 알스페이스, 아르스페이스, 오산 (장기 프로젝트)
2020 슬기로운 코로나19 생활,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온라인 교육 프로젝트)
2020 뻔뻔한 문화 아지트, 예비문화도시오산, 오산 (예술감독)
2020 네시를 찾아서(김신욱 개인전),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공간 디자인)
2020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고양어린이박물관, 고양 (참여 예술인)
2019 언러닝, 뮤지엄-포용적 예술프로젝트, 서울시립미술관 (참여 예술인)
2019 눈빛을 겨누다(이노우에 아미 개인전),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공간 디자인)
2019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고양어린이박물관, 고양 (참여 예술인)
2019 스페이스 캔 창작자 워크숍 A2A, 스페이스 캔, 서울 (선정 예술인)
2018 아르코 신진작가 워크숍 아트토크 심화과정, 아르코 미술관, 서울 (선정 예술인)
2018 - 2021 이빨빠진음악 임플란트하는 그날까지 사운드 워크숍, 서울 (참여 예술인)
2014 - 2015 미술인영농단, 양평 (단원)
2014 그라즈데일 아츠 공원재정비 프로젝트,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안양 (프로덕션스텝)
2010 플레이방방,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안양 (촬영스텝)
기금선정 및 작품소장
2024 평택시문화재단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 선정
2018 오산시립미술관 작품소장
출처: https://jogging.tistory.com/ [Curriculum Vitae:티스토리]